문자열 문자열은 따옴표(" 또는 ')로 묶어서 표현한다. print "Hello" 따옴표를 3단으로 묶기도 한다. 3단 따옴표 안에서는 이스케잎 하지 않은 개행문자나 따옴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print """Hello, 'Python'.""" 특수문자를 나타내기 위해서 역슬래시(\)가 사용될 수 있다. print " \n " 문자열 앞에 접두어로 r 또는 R을 붙이면 Raw String을 나타내며, u 또는 U를 붙이면 유니코드 임을 나타낸다. 파이썬 3부터는 b 또는 B를 사용해서 바이트 표현임을 나타낼 수 있다. u 또는 b 뒤에 r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. Raw 모드는 이스케잎 문자가 많이 사용될 때 유용하다. print "\u0062" print ur "\u0062" 문자열을 결합하려면 + 연산자를 사용하거나 공백문자를 사용한다. print "Foo" + "Boo" print "Foo" "Boo" 정수 정수는 10진수, 16진수, 8진수, 2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. 16진수는 0x, 8진수는 0o, 2진수는 0b로 시작한다. 큰 정수를 표현할 때는 숫자 뒤에 l 또는 L을 붙인다. 부동소수 소수점을 사용하거나 e를 사용해 지수로 표현된 숫자는 부동소수다. 허수 허수를 표현할 떄는 숫자 뒤에 j 또는 J를 붙인다.
a = True print (type(a), a) # <class ' bool '> True a = False print (type(a), a) # <class ' bool '> False True는 참이고 False는 거짓이다. a = [ 1 , 2 ] b = [ 1 , 2 ] print (a == b) # True print (a is b) # False 동등 비교 연산자 == 는 값을 비교하는 것이고, is 연산자는 변수의 ID값을 비교하는 것이다.
파이썬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는 def라는 키워드로 시작한다. 값을 반환하려면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는 점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마찬가지이다. def myFunc0 (): return '안녕' 파이썬의 함수는 사용하기 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. 따라서, 다음의 코드는 잘못된 코딩이다. myFunc1 () def myFunc1 (): print ( '나는야 함수라네~' ) 일단 함수의 이름만 선언 해두고 함수의 바디 부분은 아직 구현하지 않았다면 어떻겠는가.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void myFunc(){ } 처럼 블록 안에 아무것도 안쓰면 그만이다. 그러나, 브레이스{} 통한 블록 구조를 배제해버린 파이썬의 경우에는 구문 해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다. 그래서, 파이썬에는 pass라는 키워드가 등장하게 되었다. 즉, pass는 '아무 것도 안함'이라는 의미이다. pass 키워드는 if-else 구문에서도 처리할 것이 없을 때에 종종 사용된다. def myFunc2 (): pass 기본적으로, 파이썬에서 함수의 매개변수는 다른 프로그래밍언어들에서와 유사하다. 즉, 함수 이름 뒤에 괄호 사이에 매개변수를 나열해 주면 된다. def myFunc3 (param1): print ( '나는야 함수라네~' , param1) def myFunc4 (param1, param2): print ( '나는야 함수라네~' , param1, param2) 함수의 매개변수가 생략된 경우에 사용될 기본값을 지정해줄 수도 있다. 다음과 같은 함수의 경우 myFunc5(1) 또는 myFunc5(1,5)라고 호출할 수 있고, 두번째 매개변수가 생략된 경우 param2는 3이 된다. 주의해야 할 것은, 기본값을 가진 매개변수는 항상 뒤쪽에 써야 한다는 것이다.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면 당연하다, 안그러면 파이썬 인터프리...
댓글
댓글 쓰기